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ADsP
- 백로과
- 딱다구리과
- 생일문제
- 기러기목
- 비둘기과
- 맑은소리 스피치학원
- keras
- IBK기업은행 인턴
- 비둘기목
- 흰날개해오라기
- 딥러닝공부
- structured_array
- 한국의 새
- 참새목
- 한국의새
- 딥러닝 공부
- 계수정렬
- django
- SimpleCraft
- 솔딱새과
- Birthday paradox
- 직박구리과
- AI역량평가
- 참새과
- 가마우지과
- AI전략게임
- Python
- 오리과
- python3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흰뺨검둥오리 (1)
진박사의 일상

흰뺨검둥오리(Eastern Spot-billed Duck/Anas zonorhyncha) 기러기목 오리과 흰뺨검둥오리 시베리아 동남부, 몽골, 중국 동부와 동북부, 한국, 대만, 일본에 서식한다. 국내에서는 1950년대까지 흔한 겨울철새였으나, 1960년대부터 번식하기 시작해 현재는 전국의 야산, 풀밭에서 흔히 번식하는 텃새로 자리 잡았다. 국내에서 월동하는 개체수는 60,000~100,000개체다. 번식기에는 낮에도 활발히 움직이며 저수지, 하천, 논, 강에서 수초, 수서곤충 등을 먹는다. 둥지는 논이나 저수지 주변의 초지 또는 야산의 덤불 속에 오목하게 땅을 파고, 풀과 앞가슴 털을 뽑아 내부를 장식한다. 산란수는 7~12개이며 약 26일간 포란한다. 새끼는 태어나자마자 둥지를 떠나 어미의 보살핌을 ..
조류
2021. 7. 1. 1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