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박사의 일상

2. 집비둘기 본문

조류

2. 집비둘기

진박사. 2021. 5. 5. 02:12

20.02.03 서울

집비둘기(Feral Pigeon / Columba livia domestica)

비둘기목 비둘기과 집비둘기

집비둘기(Columba livia domestica)는 바위비둘기가 인간에 의해 세계 각지에 방생된 후 리비아 원산의 비둘기에서 독자적으로 분화된 개체이다

정확한 시기를 특정할 순 없지만 기원전 12000년부터 10000년 사이에 사람의 손에 길러지기 시작한 몇몇 야생개체가  돼지와 함께 최초로 가축화되기 시작한 동물 중 하나였다고 생각된다. 가축으로 운송되면서 다양한 시기, 다양한 장소로 퍼지게 되었고 모종의 이유로 방생된 몇몇 개체가 야생화되기 시작한 것이 집비둘기의 시초였다.[5] 또한 통신 목적으로 이용하던 전서구가 야생으로 돌아가면서 집비둘기에 영향을 줬다.[6]

 

집비둘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집비둘기(Columba livia domestica)는 바위비둘기가 인간에 의해 세계 각지에 방생된 후 리비아 원산의 비둘기에서 독자적으로 분화된 개체이다.[2] 한국어에서 집비

ko.wikipedia.org

- 위키백과 참조

 

 

엄밀하게 말하자면 종수로 쳐야 할지 애매한 종이긴 하다.

하지만 아무런 새도 모르는 사람조차 비둘기는 알고 있다는 점에서 조류의 대표격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사실 집비둘기는 현대 사회에 상당히 여러가지를 시사하는 바가 있는 동물 중 하나이다.

집비둘기는 길고양이와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야생화된 가축' 중 하나이자 도시의 골칫거리로 전락해버린 애물단지 취급을 받는 동물이다. 또한 지저분한 외관과 함께 산성의 똥으로 각종 시설물을 부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그 모든 것은 인간이 '평화의 새'라는 명분을 가지고 이들을 무분별하게 방사하는 행사를 했기 때문이다. 덕분에 원래 가축용의 특징인 적응력과 번식력이 뛰어난 이들은 금세 불어났고 토종 비둘기였던 '양비둘기'는 집비둘기와의 교잡과 서식지 경쟁에서 밀리면서 지금은 거의 명맥이 끊겨 멸종위기종에 내몰리기까지 했다. 인간이 자연에 개입하고 그 책임을 지지 않아서 생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겠다.

물론 도시에 익숙한 비둘기지만 그 생태 역시 참 안타깝다. 바닥의 오물을 먹는 비둘기의 모습도 흔할뿐더러 발목에 쓰레기가 얽혀 장애를 얻은 개체도 많고 사고로 죽는 개체도 많다.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한편, 인간에 익숙해져서 잘 날지 않는 녀석들을 닭둘기라는 별명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사실은 비둘기는 조류계에서 상당히 비행 솜씨가 뛰어난 축에 속한다. 얼핏 들으면 이상하게 들릴지도 있지만 그 뛰어난 비행술이 있기 때문에 도심의 인간 사이에서 그렇게 살아남을 수 있다고 생각하면 충분히 이해갈만 하다.

 

길어졌는데 집비둘기는 결국 인간에 의해 생겨난 안타까운 존재라는 점... 아쉽지만 비둘기들의 개체수가 조절될 수 있도록 먹이를 주거나 하는 행동은 이루어지지 않아야 할 것이다.

 

+추가 기록 : 집비둘기와 무척 비슷하게 생긴 양비둘기라는 종이 있다. 하지만 이 종류는 현재 국내에서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는 멸종위기종이다. 현재는 전남 구례 화엄사 일대에서만 간신히 명맥을 유지할 뿐(100여마리 이내) 그 이외의 지역에서는 거의 절멸이나 다름 없는 종이다. 혹시나 화엄사에 가서 이 녀석을 보게 된다면 아껴줍시다. 차이점은 꼬리의 흰색 띠가 명확한 것이다.(회색 흰색 검은색의 줄이 명확하다.) 집비둘기는 그렇지 않다.

 

 

-사족 : 이렇게나 길어졌는데 또 사족을 덧붙이자면 집비둘기는 여러 품종이 있기 때문에 원종인 '바위비둘기'와 비슷하게 생긴 녀석도 있는가 하면 마술사가 쓰는 흰색 비둘기도 있고 여러 품종이 섞인 듯한 얼룩덜룩한 무늬의 비둘기들도 있다. 그 녀석들이 모두 '집비둘기'라고 뭉뚱그려 불려지고 있는 것이다.

-사족2 : 비둘기과의 새들은 부부애가 강한 것으로 유명하다. 보통 부부의 금슬을 나타내는 원앙은 실상 전혀 그렇지 않은데 비해 비둘기들은 진짜로 한평생을 첫 배우자와 지낸다고 한다... 로맨티스트. 아 또 이들은 연중 번식이 가능하다. 그래서 개체수가 많아진 거지만...

 

 

전체 탐조력 : https://drjin.tistory.com/12

'조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흰뺨검둥오리  (0) 2021.07.01
4. 청둥오리  (0) 2021.05.16
3. 까치  (0) 2021.05.06
1. 참새  (0) 2021.04.29
개인 탐조력(歷)  (0) 2021.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