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Birthday paradox
- SimpleCraft
- 한국의새
- 계수정렬
- 비둘기과
- keras
- AI전략게임
- 흰날개해오라기
- Python
- 딥러닝 공부
- 솔딱새과
- 딱다구리과
- python3
- 생일문제
- IBK기업은행 인턴
- 딥러닝공부
- 한국의 새
- 기러기목
- 백로과
- django
- 맑은소리 스피치학원
- 직박구리과
- 가마우지과
- 참새과
- ADsP
- AI역량평가
- 오리과
- 비둘기목
- structured_array
- 참새목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21)
진박사의 일상

까치(Oriental magpie/Pica serica) 참새목 까마귀과 까치. 크기 : 43~48cm 먹이는 지상에서 쥐, 곤충류, 곡류 등을 먹으며 나무 열매도 즐겨 먹는 잡식성이다. 한겨울부터 다양한 나무에 둥지를 짓기 시작한다. 둥지는 나뭇가지를 쌓아 만든 후 그 위에 식물의 뿌리로 똬리를 틀고 진흙으로 붙이며, 그 위로 다시 나뭇가지로 지붕을 만들고 옆으로 출입구를 낸다. 일부 개체는 철탑이나 전신주에 둥지를 틀며 보통 철사, 쇠붙이 같은 재료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 간혹 정전사고를 유발해 둥지가 훼손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한배에 알을 3~5개 낳으며 17~18일 동안 포란한다. 번식 후에는 무리지어 생활하며 해질녘에는 일정한 장소에 모여 잠을 잔다. 겨울철에는 들판, 하천에서 서식하는 말똥가리..
장고 프로젝트 생성 $ django-admin startproject (config) . DB 생성 $ python manage.py migrate 앱 생성 $ python manage.py startapp (app_default) 그 밖의 명령어들 makemigrations : 변경사항 추적, DB 적용할 내용 정리 sqlmigrate : 실행할 SQL 명령문 출력 migrate : 실제 변경사항 DB 반영 slowmigrations : DB 변경사항 목록과 상태 출력 runserver : 테스트 서버 실행 dumpdata : DB 백업 loaddata : DB 복구 flush : DB 테이블만 남기고 내용만 삭제 shell : jango shell을 실행 dbshell : DB 직접 접근 가능한 쉘을..
갑자기 과제로 웹을 만들어야 하게 되었다... 웹은 정말 너무 오래전에 해서 지금은 이미 기억도 가물가물... 물론 html, css, javascript, php 의 아주 간단한 지식만 오래된 흐릿한 기억으로 남아있지만 그것도 이젠 약간 오래된 기술이겠지? 그래서 아예 처음 한다는 생각으로 최근 익숙해진 파이썬 기반 Django를 새롭게 배워볼 요량으로 책을 빌려왔다. 흠... 일주일 안에 과제 목표치의 내용을 배울 수 있으려나 ㅠ

집비둘기(Feral Pigeon / Columba livia domestica) 비둘기목 비둘기과 집비둘기 집비둘기(Columba livia domestica)는 바위비둘기가 인간에 의해 세계 각지에 방생된 후 리비아 원산의 비둘기에서 독자적으로 분화된 개체이다 정확한 시기를 특정할 순 없지만 기원전 12000년부터 10000년 사이에 사람의 손에 길러지기 시작한 몇몇 야생개체가 개나 돼지와 함께 최초로 가축화되기 시작한 동물 중 하나였다고 생각된다. 가축으로 운송되면서 다양한 시기, 다양한 장소로 퍼지게 되었고 모종의 이유로 방생된 몇몇 개체가 야생화되기 시작한 것이 집비둘기의 시초였다.[5] 또한 통신 목적으로 이용하던 전서구가 야생으로 돌아가면서 집비둘기에 영향을 줬다.[6] 집비둘기 - 위키백과,..
파이썬으로 numpy의 dot 연산을 할 때 자주 헛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메모 차원으로 정리해본다 import numpy as np a = np.array([1,2,3]) b = np.array([1,2]) print(a.shape) #(3,) print(b.shape) #(2,) np.dot(a,b) # error np.dot(a,b.T) #error 가끔씩 (n,1) ・ (1,m) 의 dot product를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런데 numpy에서는 vector의 transpose의 경우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n,m) matrix의 경우 transpose 하면 (m,n) matrix가 나오지만 (n,) 의 vector는 transpose를 해줘도 (n,)이 나오기 떄문이다. 이것은 우연이..

참새(Eurasian Tree Sparrow / Passer montanus) 참새목 참새과 참새. 크기 : 14cm ~ 14.5cm 사람 활동과 밀접하게 관계되어 주로 인가 주변에서 먹이를 찾거나 농경지에 서식한다. 두 발로 뛰면서 땅 위에 내려와 먹이를 찾거나 농작물의 알곡을 먹기도 한다. 둥지는 인가의 건물 틈에 마른 식물의 뿌리, 헝겊이나 비늘조각 등을 이용해 만들고, 내부에 동물의 털을 깐다. 한배 산란수는 4~6개다. 포란기간은 12일이다. 새끼는 부화 약 14일 후에 둥지를 떠나며, 약 10일간 어미로부터 먹이를 공급받는다. 겨울철에는 인가 주변 덤불숲과 농경지 인근 관목지대에서 큰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야생조류 필드가이드 참조 - https://100.daum.net/encyclo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