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비둘기목
- django
- 참새목
- 흰날개해오라기
- Birthday paradox
- SimpleCraft
- 계수정렬
- 참새과
- 비둘기과
- Python
- 한국의 새
- AI전략게임
- ADsP
- IBK기업은행 인턴
- AI역량평가
- 백로과
- 한국의새
- 오리과
- 기러기목
- 맑은소리 스피치학원
- 딥러닝 공부
- 딥러닝공부
- structured_array
- keras
- 가마우지과
- 직박구리과
- 생일문제
- 딱다구리과
- 솔딱새과
- python3
- Today
- Total
목록조류 (14)
진박사의 일상

큰오색딱다구리(White-backed Woodpecker/Dendrocopos leucotos) 딱다구리목 딱다구리과 큰오색딱다구리. 소아시아, 유럽 서부에서 바이칼호를 경유해 연해주 지역, 캄차카, 사할린, 한국, 중국 북동부, 대만, 일본에 서식한다. 비교적 흔하게 서식하는 텃새다. 거목이 있는 울창한 산림, 야산 주변에서 단독으로 생활한다. 딱정벌레 애벌레, 하루살이, 개미, 나방 등 주로 곤충을 먹지만 나무 열매도 즐겨 먹는다. 둥지 파기, 육추는 암수 교대로 이루어지는 반면, 야간에 포란과 새끼 돌보기는 수컷이 전담한다. 알을 3~5개 낳아 약 15일 동안 포란하며, 새끼는 부화 27~28일 후에 둥지를 떠난다. -야생조류 필드가이드 참조(큰오색딱다구리 - Daum 백과) 이 녀석은 처음 본 것..

중대백로( Great Egret / Adrea alba modesta ) 황새목 백로과 중대백로. 남아시아, 동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한다. 국내에서는 전국에 걸쳐 번식하는 여름철새다. 하천, 호수, 논에서 천천히 거닐며 개구리, 물고기, 미꾸라지 등을 잡아먹는다. 둥지는 소나무, 참나무류의 가지에 죽은 나뭇가지를 이용해 만든다. 알을 3~4개 낳고 25~28일간 포란한다. 대백로( Western Great Egret / Adrea alba alba ) 황새목 백로과 중대백로 아종 대백로. 유럽에서 동쪽으로 아시아 북부, 중국 동북부 지역의 유라시아대륙에서 번식한다. 국내에서는 흔한 겨울철새다. 적지 않은 수가 천수만 간월호, 해남 영암호, 강원 속초 청초호 등 드넓은 간척지, 하천, 호수 등지에서..

흰뺨검둥오리(Eastern Spot-billed Duck/Anas zonorhyncha) 기러기목 오리과 흰뺨검둥오리 시베리아 동남부, 몽골, 중국 동부와 동북부, 한국, 대만, 일본에 서식한다. 국내에서는 1950년대까지 흔한 겨울철새였으나, 1960년대부터 번식하기 시작해 현재는 전국의 야산, 풀밭에서 흔히 번식하는 텃새로 자리 잡았다. 국내에서 월동하는 개체수는 60,000~100,000개체다. 번식기에는 낮에도 활발히 움직이며 저수지, 하천, 논, 강에서 수초, 수서곤충 등을 먹는다. 둥지는 논이나 저수지 주변의 초지 또는 야산의 덤불 속에 오목하게 땅을 파고, 풀과 앞가슴 털을 뽑아 내부를 장식한다. 산란수는 7~12개이며 약 26일간 포란한다. 새끼는 태어나자마자 둥지를 떠나 어미의 보살핌을 ..

청둥오리(Mallad/Anas platyrhynchos) 기러기목 오리과 청둥오리 유라시아대륙과 북아메리카대륙의 한대·온대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3아종으로 나눈다. 국내에서는 가을 수확이 끝나갈 무렵부터 전국 각지에 찾아오는 매우 흔한 겨울철새다. 국내에서 월동하는 개체수는 180,000~270,000개체다. 10월 초순에 도래하며 4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1990년대 한강 하류 행주산성 주변에서 번식이 확인된 이후 최근 밤섬, 동강 일원 등 일부 지역에서 번식이 확인되고 있다. 낮에 채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물 위, 모래톱, 제방 등지에서 무리지어 휴식하고 해가 지면 농경지, 습지 등지로 날아들어 낟알, 식물 줄기 등을 먹는다. 한배에 알을 6~12개 낳으며 포란기간은 28~29일이다. -야생조류 필..

까치(Oriental magpie/Pica serica) 참새목 까마귀과 까치. 크기 : 43~48cm 먹이는 지상에서 쥐, 곤충류, 곡류 등을 먹으며 나무 열매도 즐겨 먹는 잡식성이다. 한겨울부터 다양한 나무에 둥지를 짓기 시작한다. 둥지는 나뭇가지를 쌓아 만든 후 그 위에 식물의 뿌리로 똬리를 틀고 진흙으로 붙이며, 그 위로 다시 나뭇가지로 지붕을 만들고 옆으로 출입구를 낸다. 일부 개체는 철탑이나 전신주에 둥지를 틀며 보통 철사, 쇠붙이 같은 재료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 간혹 정전사고를 유발해 둥지가 훼손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한배에 알을 3~5개 낳으며 17~18일 동안 포란한다. 번식 후에는 무리지어 생활하며 해질녘에는 일정한 장소에 모여 잠을 잔다. 겨울철에는 들판, 하천에서 서식하는 말똥가리..

집비둘기(Feral Pigeon / Columba livia domestica) 비둘기목 비둘기과 집비둘기 집비둘기(Columba livia domestica)는 바위비둘기가 인간에 의해 세계 각지에 방생된 후 리비아 원산의 비둘기에서 독자적으로 분화된 개체이다 정확한 시기를 특정할 순 없지만 기원전 12000년부터 10000년 사이에 사람의 손에 길러지기 시작한 몇몇 야생개체가 개나 돼지와 함께 최초로 가축화되기 시작한 동물 중 하나였다고 생각된다. 가축으로 운송되면서 다양한 시기, 다양한 장소로 퍼지게 되었고 모종의 이유로 방생된 몇몇 개체가 야생화되기 시작한 것이 집비둘기의 시초였다.[5] 또한 통신 목적으로 이용하던 전서구가 야생으로 돌아가면서 집비둘기에 영향을 줬다.[6] 집비둘기 - 위키백과,..